JAVA(25)
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증감연산자)
6.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전위형 : ++변수명 , --변수명 후위형 : 변수명 ++ , 변수명 -- - 연산자의 위치가 중요하니 확인 필수 package practice; public class pra3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a=1; // a변수에 1 저장 System.out.println(a); a++; // a값 1 증가 System.out.println(a); System.out.println(++a); //전위형 : 증가가 먼저 일어난다 System.out.println(a++); //후위형 : 긍가가 나중에 일어난다 System.out.println(a); } }
2021.12.27 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삼항연산자)
5.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ex int a = ( 3 < 4 ) ? 30 : 40 조건문 ? 참 : 거짓 int a = ( 3 < 4 ) ? 30 : 40; System.out.println(a); 4가 3 보다 크니? 라고 조건문을 제시하였을 때, 참이면 30이 나오고 거짓이면 40이 나온다
2021.12.24 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논리연산자)
4.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설명 예시 && and, 그리고 a && b || or, 또는 a || b ! not, 참 => 거짓 거짓 => 참 으로 바뀌어서 출력 !a !b 1) && System.out.println(true && true); System.out.println(true && false); System.out.println(false && true); System.out.println(false && false); true false false false 2) || System.out.println(true || true); System.out.println(true || false); System.out.println(false || true); System.out.println(f..
2021.12.24 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비교연산자)
3.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예시 == a == b != a !=b = a >=b 비교 연산자는 계산식으로 풀이하였을 때, 참이면 True 거짓이면 False를 반환하게 된다. 1) == int a=10; int b=5; System.out.println(a==b); a는 10이고, b가 5일 때, 10 == 5 10은 5와 같니? 아니요 False 만약 b가 10이었다면 True가 나온다. 2) != int a=10; int b=5; System.out.println(a!=b); a는 10이고, b가 5일 때, 10 != 5 10은 5와 다르니? 네 True 만약 b가 10이었다면 False가 나온다. 3)
2021.12.23 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대입연산자)
2.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 예시 = a = 1 += a += 1 -= a -= 1 *= a *= 1 /= a /= 1 %= a %= 1 1) = 연산자 int a; a=10; System.out.println(a); 이와 같이 a를 10으로 초기화하면 같은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. 2) += 연산자 int a=10; a+=10; System.out.println(a); a라는 값을 10으로 설정하였을 때, 10 += 10 이 되므로 값은 20이 나온오게 된다. 3) -= 연산자 int a=10; a-=10; System.out.println(a); a라는 값을 10으로 설정하였을 때, 10 -= 10 이 되므로 값은 0이 나온오게 된다. 4) *= 연산자 int a=10; a*=10; System.o..
2021.12.23 -
[JAVA] 연산자의 종류 (산술연산자)
1. 산술 연산자 - 컴퓨터 언어는 4칙연산이 아닌 %(나머지)를 포함한 5칙연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술연산자 설명 ex + 더하기 a + b - 빼기 a - b * 곱하기 a * b / 나누기 a / b % (몫을 구한 후) 나머지 a % b #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연산 진행 ex) int num1 = 8; int num2 = 2; System.out.println(num1+num2); =10 System.out.println(num1-num2); =6 System.out.println(num1*num2); =16 System.out.println(num1/num2); =4 System.out.println(num1%num2); =0 ex) 문자형 뒤에 "+" 연산자가 오게 되면 문자형으로 인식 ..
2021.12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