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아한 테크톡

[10분 테코톡] 👩‍🦰에헴의 빌드용어

dauneee 2022. 1. 6. 17:42

 

컴파일이란? 

 

- 인텔리 제이나 이클립스 같은 프로그램에서 소스코드를 입력할 때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코드로 짠 것이 원시 파일이라고 한다. 이 원시 파일의 코드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이진 코드로 바꾸는 모든 과정이 컴파일러이며,

빌드라는 큰 틀 안에 컴파일러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.


빌드 도구란? 

소스 코드로부터 실행 가능한 어플레케이션을 생성하는 것자동화하는 프로그램

 

 

무엇을 자동화하는가? 

- 매번 반복해야 하는 일

ex) 서비스 중인 프로그램의 코드를 수정하는 경우

 

빌드를 자동화하면, 빌드 자동화

배포를 자동화하면, 배포 자동화

테스트를 자동화하면, 테스트 자동화라고 부른다.

 

빌드 자동화를 하면?
- 의존성 다운로드

-소스코드를 이진 코드로 컴파일

-이진 코드 패키징

-자동화된 테스트 실행

-프로덕션 시스템 배포

 

 

사용하는 이유?

작은 프로젝트를 할 때는 내가 어디에 잇는 소스코드를 빌드하고 싶은지 직접 파악할 수 있지만, 코드가 많아지고 규목 큰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한 번에 찾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용한다.

 

ANT Mevan Gradel

- 현대적인 빌드 도구

- Xml

- 절차적

- 유연성

- 스크립트를 직접 명시할 수 있다

- pom.xml

- 의존성 다운로드

- 컨벤션

- 사용자 의도에 맞는 로직 개발 어려움
- Groovy / Kotin

- 유연성

- 스크립트 규묘가 작음

 

 

 

< 영상 >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gRCaVwkPE8